[연구결과 및 DB]10 관련 기관별 견해 - WHO WHO의 2007년판 EHC(Environmental Health Criteria)의 결론은 소아백혈병 역학연구에 의하여 결정된 상용주파수 전자계에 대한 2002년도 IARC의 분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그 이후에 발표된 소아백혈병 연구를 통해서도 바뀌지 않고 있다. 또한 다른 소아암의 대한 증거도 여전히 불충분한 상태로 남아있다. 결론적으로 2002년 이후에 발표된 인간, 동물 및 체내 세포연구는 극저주파에 대한 IARC의 분류(2B :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 발암성이 있을지도 모른다)를 바꾸지 못했다. 2019. 12. 9. 관련 기관별 견해 - ICNIRP Wertheimer와 Leeper의 주거지 EMF와 가장 중요한 3가지 소아암과의 연구 보고서가 나온 후 9개국 18개의 논문은 거주지에서 0.2uT 이하의 자계 노출은 소아 백혈병과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거주지에서 매우 작은 규모로 한정된 소아군(하나의 통합연구 사례에서 0.8%정도)에서 0.4uT이상의 자계에 노출에 의하여 소아백혈병의 발병 위험이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하지만 생물학적 메카니즘과 발암성을 증명 할 수 있는 재현성 있는 실험이 없는 상태에서 이를 규명하기 어렵다. 또한 선택편향(selection bias)에 의해서 위험성이 증가 하였다는 증거가 발견 되었다. 2010년 10월 ICNIRP에서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고, 그 내용은 본 전자계.. 2019. 12. 9. 관련 기관별 견해 - IARC WHO 산하 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는 기관내 발암성 판별 및 평가 부서에서 1972년부터 주기적으로 화학물질, 주발암성 및 그에 따른 분류를 담고 있는 보고서를 발간 해오고 있다. 2001년 6월 정전계, 정자계 및 극저주파 전자계에 대한 평가를 내리기 위한 특별 조사 위원회가 구성 되었으며, 결과 보고서 80번(IARC classification in Monograph 80)에 결과가 실려 있다. 상용주파수 자계는 소아백혈병에 관하여 아래와 같은 이유로 발암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possibly carcinogenic) 물질로 분류 하였다. - 소아 백혈병 : 제한된 증거 (limited evidence) - 인간에 대한 모든 암 : 불충분한 증거 (inadequate evidence) - 동.. 2019. 12. 9. 관련 논문 2019. 10. 24. 역학연구 - 통계용어 정리 ○ 오즈비 (Odds Ratio) 두 그룹 A와 B에 대하여 어떤 사건이 1(있음)과 0(없음)으로 구분하여 조사되었다고 하자. 이때 오즈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오즈비는 두 이분형 변수(행 변수와 열 변수)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측도 중 하나이며, 오즈비가 1에 가까우면 연관성이 없음을 나타내고, 오즈비가 0에 접근하거나 매우 클수록 연관성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오즈비는 사례-대조 연구에서 상대비율의 추정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추정된 상대위험(estimated relative risk)으로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의 자료에서 오즈비는 (0.78×0.80)/(0.20×0.22)=14.2이다. 이는 흡연자의 폐암 발생률 또는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률은 알 수 없으나, 비흡연 그룹에 비하여.. 2019. 10. 24. 역학 연구 - 통합연구 같은 주제에 관한 여러 가지 역학조사 논문을 일관성 있는 기준으로 정리하는 연구로써 조사규모가 커진다. 2019. 10. 24. 역학연구 - 사례 대조군 연구 (Case Control Study) 사례-대조 연구는 대상자들을 결과(outcome)에 따라 사례군(case group)과 대조군(control group)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을 과거에 특정 요인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구분하여 분석하는 관측연구의 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치료 중인 폐암 환자들(사례군)을 조사하여 과거의 흡연 경험을 구분하고, 비폐암 환자들(대조군)도 조사하여 과거의 흡연 경험을 구분함으로써, 흡연과 폐암의 관련성을 추론하는 것이다. 사례-대조 연구는 연구의 진행방향이 ‘결과→원인’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의 성격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의 연구는 시간과 비용 면에서 코호트 연구에 비하여 훨씬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관측편향 및 선택편향 등이 개입될 소지가 있으므로 자료의.. 2019. 10. 24. 역학연구 - 코호트 연구 (Cohort Study) 두 개의 치료약 A(새로운 치료약), B(기존의 치료약)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모은 후, 이들을 랜덤하게(임의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A와 B를 투여하고 치료 효과를 관찰하는 실험을 생각하자. 이와 같은 연구를 코호트 연구라고 하며, 코호트란 동일한 특성을 가진 단위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코호트 연구는 연구의 진행방향이 ‘원인→결과’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의 성격을 가진다. 코호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편향(bias)을 방지할 수 있는 실험설계가 가능하고 실험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추적 조사를 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방대한 비용이 들며 연구관리가 상당히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 2019. 10. 24. 실험실 연구 - In Vivo 연구 In Vivo(동물실험) In Vivo의 사전적 의미는 "within the living"로 번역하면 생체내에서 행해지는 실험을 의미하며 동물실험으로 불리운다. 동물실험은 주로 실험실환경에서 행해지는 개체실험으로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에 대한 연구도 포함한다. 실험 참여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 인체 연구는 역학연구에서 밝힐 수 없는 여러 가지 메카니즘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특정 물질 또는 환경의 노출량을 인위로 적절히 조정하여 어떠한 효과라도 즉시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들이다. 반면에 짧은 기간에 대한 노출, 가역 반응, 노출의 단순성 등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암과 같이 장기간 노출의 결과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물실험이 주로 수행된다. 실험동물과 대조군 동물은 노출량만 다르고 .. 2019. 10. 24. 실험실 연구 - In Vitro 연구 In Vitro(세포실험) In Vitro의 사전적 의미는 "within the glass"로 번역하면 시험관 내의 행해지는 실험을 의미한다. 또한 시험관 안에서는 주로 세포단위의 작은 조직만이 생존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세포실험이라 불리운다. 세포실험은 생체의 조직 일부 혹은 세포를 분리하여 특정 물질 또는 환경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이 실험은 다른 여러 가지 외부요인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세포단계 혹은 조직단계의 실험이므로 외부 온도라든지 병원균이라든지 조그마한 변수에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세포실험으로서 DNA나 RNA 합성,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속도, 세포 형상, 변종 등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세포 수준의 실험결과가 전체 개체.. 2019. 10. 24. 이전 1 다음